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연구위원 이광주

2014년에 개봉한 루시는 해외 개봉과 동시에 박스오피스를 석권한 뤽 베송 감독의 화제작이다. 이 영화는 ‘그랑블루’, ‘니키타’, ‘레옹’, ‘제5원소’ 등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만들어가며 액션의 거장으로 자리 잡은 뤽 베송 감독이 10년 전부터 머릿속에서 구상하고 준비해 온 작품이다. 그가 오랜 기간에 걸쳐 완성한 루시는 인간의 뇌 사용량의 평균치가 10%에 불과하다는 가설에 입각해 그것을 넘어설 때 벌어질 상상 속의 일들을 그려낸 작품이다.
평범한 삶을 살던 루시는 며칠 사귄 사내로부터 정체불명의 가방 하나를 미스터 장에게 전해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영문

도 모른 채 가방을 전하려던 그녀는 험악한 사내들에게 이끌려 미스터 장을 만난다. 그는 무시무시한 범죄조직의 보스로서 공권력도 우습게 여기는 인물이다.
미스터 장의 손에 걸린 루시는 졸지에 파란색 합성물질인 CPH401의 운반책으로 전락한다. 그녀와 3명의 남성은 복부절개 후 배 속에 약물을 한 봉지씩 넣은 채 유럽 각국으로 보내진다.
루시가 어디론가 보내지기 전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으로 배 속의 강력한 약물이 체내로 퍼진다. 그러자 그녀 안의 모든 세포와 감각이 깨어나고 뇌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놀라운 변화들이 일어난다.

루시의 뇌 사용량이 20%, 40%, 60% … 이렇게 점차 높아지면서 상상할 수 없는 능력을 갖게 되고 엄청난 양의 지식과 정보도 습득하게 된다. 또한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중력과 전파를 자유자재로 이용하는 등 초능력에 가까운 힘을 발휘한다.

루시의 뇌 사용량의 변화는 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면서 관객들이 루시의 급격한 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생기는 변화들은 세계적인 뇌과학자로 인간의 뇌 사용량에 따른 변화를 연구해 온 노먼 박사의 강연을 통해 설명된다.
인간의 뇌 사용량은 평균 10%인데 만약 24%를 사용하게 되면 자기 몸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초감각이 생긴다. 뇌 사용량이 40%에 도달하면 모든 상황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62%에서는 타인의 행동까지 조정할 수 있다. 만약 인간이 뇌 사용량의 100%에 도달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노먼 박사는 그것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미지의 영역이라고 말한다.
루시의 뇌세포는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지적 능력을 끌어올리고 육체적 초능력까지 강화한다. 가공할 힘을 가지게 된 루시는 미스터 장을 찾아가 복수를 하고 다른 약물의 행선지도 파악한다. 한편, 그녀의 뇌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인간적인 감정과 감각은 옅어지지만, 인류가 쌓아놓은 정보들이 뇌 속에서 폭발하면서 엄청난 지식이 쌓인다. 하지만 그녀에게 남은 수명이 24시간도 채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루시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뇌과학을 연구해 온 노먼 박사를 찾고 그와 통화하면서 모든 생명의 존재 이유가 자신이 얻은 지식을 후대에 전하는 데 있음을 깨닫는다. 그래서 그녀도 자신이 얻은 지식을 인류에게 전하기 위해 프랑스에 있는 노먼 박사를 찾아간다.
이때 미스터 장은 CPH4를 되찾고 복수를 하기 위해서 집요하게 루시의 뒤를 쫓고 있었다. 루시 또한 자기 뇌 사용량을 10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CPH4가 더 많이 필요했다. 그래서 다른 곳으로 보내진 3명의 운반책들을 프랑스 경찰의 협조를 얻어 잡아들인다. 그러나 미스터 장의 수하들이 경찰을 제압하고 운반책들에게서 약물을 탈취해 가려고 한다. 이런 사실을 초감각으로 알게 된 루시는 도로 위의 모든 상황을 예측하고 통제하며 엄청난 속도로 역주행하며 달려가 그들을 제압하고 약물을 확보한다.


‘루시’는 액션 영화처럼 보이지만 뇌의 신비에 주목한 SF영화의 성격이 짙다. 뤽 베송 감독은 뇌과학과 인간의 존재 이유, 짜릿한 액션을 혼합해 인간의 뇌가 가진 능력에 대한 상상을 마음껏 펼쳐 보였다. 총격신과 자동차 역주행신 등의 강렬한 액션과 근대부터 선사시대, 공룡시대, 광활한 우주까지 폭넓은 배경을 현실감 있게 그려낸 컴퓨터 그래픽은 이 영화의 백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뤽 베송 감독이 루시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인간의 존재 이유’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데 있을지도 모른다. 루시가 자신이 얻은 엄청난 지식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건 박사에게 물었을 때 그는 “생명의 유일한 목표는 자신이 배운 걸 전하는 거였소”라고 답한다. 이에 루시는 자신을 희생하며 그 모든 지식을 인류의 번영과 발전을 위해 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뇌과학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치밀한 연출로 훌륭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루시의 주인공인 스칼렛 요한슨(루시 역)의 멋진 액션과 섬세한 감정 표현도 매우 훌륭했고 모건 프리먼(노먼 박사 역)과 최민식(미스터 장 역)의 연기도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루시의 뇌 사용량이 100%에 도달할 때 연출된 장면이다.
루시를 보면서 ‘활연관통하는 순간 도인들도 이와 유사한 일들을 겪으며 천지(天地)와 하나가 되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영화가 더욱 흥미로웠다. 물론 인간의 평균 뇌 사용량이 10%에 불과하다는 것은 하나의 가설일 뿐이며, 영화처럼 뇌 사용량이 100%에 도달하더라도 이것과 도통은 그 차원을 달리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01 임신 6주차 이상의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물질을 차용하여 극중에서 붙인 이름이다. 실제로 존재하는 이 천연 물질은 마치 원자 폭발과 같은 힘으로 생명을 탄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신 6주차 아기에게는 생명의 핵심이 되는 장기들이 생성되는데, 그중에서도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 80%가 이 시기에 만들어진다. 송현지, 「Science & Culture - 영화 ‘루시’ 속 과학」 (YTN사이언스), 2014.09.06 참조.
'영화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순진리회 회보♡ -영화 속으로- 잘못과 실수에 대하여 영화 '플랫라이너' (1) | 2022.09.24 |
---|---|
♡대순진리회 회보♡ -영화 속으로- 설리 : 허드슨강의 기적 (0) | 2022.08.28 |
♡대순진리회 회보♡ -영화 속으로-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0) | 2022.08.22 |
♡대순진리회 회보♡ -영화 속으로- 맨 오브 오너 (0) | 2022.08.21 |
♡대순진리회 회보♡ -영화 속으로- 내니 다이어리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