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진리회 회보♡ -일각문- 나는 누구일까? 나는 누구일까?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나는 영원히 그대를 따라다닌다.나는 그대를 많이 도와주기도 하지만,그대에게 무거운 짐이 되기도 한다. 나는 그대를 성공하게도 하지만,실패의 나락으로 끌어내리기도 한다.나는 당신 명령대로 한다. 그대가 하는 일의 반을 넘겨다오.그러면 내가 재빨리, 확실하게 해치워주마. 나를 다루기는 쉽다.당신은 단호하기만 하면 된다. 일하는 방법을 정확히 보여 달라.몇 번 관찰한 후 자동으로 처리해줄 테니.나는 위대한 사람의 종이기도 하지만,슬프게도 실패한 사람의 종이기도 하다.나는 위대한 사람을 위대하게 만들고,실패한 사람을 실패하게 만든다. 나는 기계가 아니지만,인간의 지능과 기계의 정확함을 구비하고 일한다. 당신은 나를 이롭게도 굴릴 수 있고,해롭게도 굴릴 수 있다..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맹자(孟子)』한 절 『맹자(孟子)』한 절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상제께서 어느 날 종도들에게 맹자(孟子) 한 절을 일러 주시면서 그 책에 더 볼 것이 없노라고 말씀하셨도다. 天將降大任於斯人也 必先勞其心志 苦其筋骨 餓其體膚 窮乏其贐行 拂亂其所爲 是故 動心忍性 增益其所不能”(행록 3장 50절)01      상제님의 말씀 가운데 있는 『맹자』 「고자(告子) 하(下)」편의 한 구절은, 도통(道通)의 궁극적 이상을 향한 수도인들이 역경(逆境)에 처했을 때 한번쯤 되새기게 되는 글귀다. 상제님께서는 『맹자』의 이 한 구절을 일러주시면서 그 책에서 더 볼 것이 없다는 말씀으로 이 구절의 중요성을 강조하셨다. 중국고전의 사서(四書)에 속한 『맹자』, 그 가운데서 위의 한 구절에 가장 큰 의미를 부여하신 상제님의 뜻을 ‘맹자’..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대순(大巡)’의 의미 대순(大巡)’의 의미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대순’은 한자(漢字) 그대로 ‘크게 돌다(돌아보다), 크게 돈다.’란 의미다. 하지만 여기에는 문자적 해석 이상의 심오(深奧)함이 담겨 있다. 이 글에서는 대순에 대해 일반적 의미와 「대순진리회」 글에서의 심오한 의미를 대비해 보고 『전경』, 『대순지침』,『대순진리회요람』의 구절들을 통해 대순을 상제님과 도주님, 도전님으로 이어지는 종통의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 대순으로 상제님·도주님·도전님의 세 분을 연원(淵源)으로 도문소자인 내가 마치 하나의 물줄기처럼 연운(緣運)으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 수도인은 대순의 의미를 바르고 깊게 인식하여 참된 도문소자가 되고 일심에 도달해야겠다.    ‘대순’의 일반적인 의미  먼저 대순(大巡..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일각문- 미운 아기 오리 미운 아기 오리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햇살이 눈부신 어느 아름다운 시골에 오래된 저택이 한 채 있었다. 이곳에 어미 오리 한 마리가 둥지를 틀고 앉아 알을 품고 있었다. 아기 오리가 하나 둘 껍질을 깨고 나왔지만 그중 제일 큰 알은 깨지 않았다. 할미 오리가 그 알은 칠면조 알이니 괜한 고생하지 말라 하였지만 어미 오리는 여태 고생했는데 조금만 더 지켜보고 싶다며 계속 알을 품어서 드디어 큰 알이 깨졌다. 아기 오리가 울음소리와 함께 한 바퀴 회전하며 나왔는데 정말 크고 못생긴 아기 오리였다.   미운 아기 오리는 다른 아기 오리들에게 못생겼다며 놀림과 따돌림을 당하고 닭들에게 쪼이고, 새 모이를 주러 오는 여자 아이한테도 발길로 차였다.   미운 아기 오리는 도망쳤다. ‘이게 다 내가..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일각문- 풍덩 풍덩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옛날, 모과나무 숲이 있는 호숫가에 토끼 여섯 마리가 살았다. 어느 날, 높이 달려 있던 모과열매가 다 익어서 ‘풍덩’ 소리를 내며 호수에 떨어졌다. 토끼들이 이 ‘풍덩’ 하는 소리에 크게 놀라 달아나기 시작하였다.   여우가 토끼에게 왜 뛰느냐고 물었다. 토끼는 ‘풍덩’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자 여우도 겁에 질려 토끼를 따라 뛰었다. 원숭이가 뛰고 있는 여우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여우는 토끼에게서 들은 대로 ‘풍덩’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원숭이도 덩달아 뛰기 시작하였다. ..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일심(一心)과 두 마음 일심(一心)과 두 마음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김인수    우리 종단의 기본사업(포덕·교화·수도)을 양면으로 나눠보면, 개인과 사회의 두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의 목적은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완전한 도인이 되는 것이고,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인도(人道)를 선도하여 윤리 도덕의 상도(常道)를 바로 이룩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동전의 앞·뒷면과도 같지만, 전자가 보다 근본적인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사실은 상제님께서 되풀이 읽으라고 하신 『대학』의 상장(上章)01에서 그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대학상장(大學上章)」의 삼강령(三綱領)02에 의하면, 먼저 나의 밝은 덕(德)을 밝혀야 백성을 새롭게 하고, 신민(新民)한 후에야 비로소 지극한 선(善)에 이를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학..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일각문- 성공의 비결 성공의 비결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옛날 어느 소년이 길을 가다가 도중에서 한 사람의 도인을 만나게 되었다. 도인은 소년을 부르더니, “너에게 성공의 비결을 가르쳐 줄까?” 하고 말하는 것이었다. 소년은 기뻐서 손발이 닳도록 감사하며 그 비결을 물었다. 그러자 그 도인은 품속에서 소중히 보관했던 봉투를 꺼내 소년에게 건네주며, “집에 돌아간 후 잠자리에 들기 전에 뜯어보아라.”고 말했다. 소년은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도인과 작별하여 집에 돌아온 후 봉투를 뜯어보니 다음과 같이 성공의 비결이 씌어 있었다.   “ 첫째, 일출과 함께 일어나라. 둘째, 식사는 하루 두 끼만 하라. ” 소년은 이것을 보고 매우 실망하여 그 종이를 찢어버렸다. 그런 뒤 여러 해가 지나고 소년이 청년이 된 어느..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치성의례에서의, 술[酒] 치성의례에서의, 술[酒]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술은 인류 출현 이래의 역사만큼 오래되었다. 신화(神話)01에서는 언제나 하늘과 인간이 만나는 얘기와 제의에 으레 술이 따랐고, 공동체의 구심점이 되는 창세신이나 조상신에 대한 제의에서는 신과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상징적 매개체였다. 곧 술은 신에게 바치는 신성한 공물이며, 그러한 행위는 숭고하고 경건한 마음의 발로였던 것이다. 제의 후 벌어지는 뒤풀이 행사인 음복은 그 신에게 경배하는 의미와 함께 개인 및 공동체 구성원의 안녕을 도모하고, 지난날의 갈등 해소 및 상호 간의 연대감을 고취시키는 제의의 연장선상이었다.  더욱이 인간 일생의 각 마디에서 행해지는 우리 민족의 통과의례나 세시의례에서도 술은 의례의 중심을 이루었고, 오늘날 각종 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