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순진리회회보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행복의 또 다른 이름, 웃음 행복의 또 다른 이름, 웃음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이상훈 현재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무서운 질병 중의 하나인 ‘암’을 비롯하여 여러 질병과 성인병의 원인으로 밝혀진 것이 스트레스이다. 게다가 이것은 우울증으로도 이어져 자살이라는 무서운 결과를 낳기도 한다. 이렇듯 신체적, 정신적 질병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 이것을 없애기 위한 해결책으로 요즘 ‘웃음’을 통한 치료방법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미 웃음의 효능에 대한 여러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있다. 명지병원 정신과 이준석 교수는 “웃음은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하며 자주 웃으면 세균, 바이러스성 감염은 물론 우울증, 암 예방에도 효과적”이라 하였고, 일본 오사카대에서는 웃음이 혈액 속의 면역력을 높이고, 암의 종양세포를 공격하는 NK..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무슨 업(業)을 행하시나이까? 무슨 업(業)을 행하시나이까?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정미년 五 월 상제님께서 김자현(金自賢)과 몇 종도를 데리고 용암리 주막에 들르셨는데, 마침 소송관계로 일을 보러 가던 정읍(井邑) 사람 차경석(車京石)이 이곳에 있었다. 그가 상제님의 의표와 언어 동작을 살피고 그 비범하심을 알고 예를 갖추어 “무슨 업(業)을 행하시나이까?”라고 물었다. 몇 년 전 교화를 들으러 온 한 남성이 있었다. 여름인데도 긴소매 옷을 입고 있어 더워 보였다. 사연이 있겠지 하고 묻지 않았는데 교화를 듣고 나더니 자신의 사연을 풀어 놓았다. 젊어 운동을 하다가 폭력조직에 몸을 담게 되었고 세월이 흘러 결혼도 하고 아들을 낳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가자 “아버지 직업이 뭐야?”라고 쪽지를 가지고 와서 ..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후각을 올바르고실력 있는 도인으로 -성(誠)·경(敬)·신(信)의 측면에서 후각을 올바르고 실력 있는 도인으로 - 성(誠)·경(敬)·신(信)의 측면에서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백기호 『전경』에는 신조(信條) 중 삼요체인 성(誠)·경(敬)·신(信)과 관련하여 “복록성경신(福祿誠敬信)과 수명성경신(壽命誠敬信)”01이란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도인 자신이 행한 성경신의 정도에 따라 복록과 수명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인들이 수도의 목적으로 삼고 있는 도통은 영원한 복록을 받아서 후천 5만년 선경세상에서 불로불사하며 영원한 선경의 낙을 누리는 것이다.02 그러므로 도통도 성경신과 직결되기에 성경신의 중요성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03 대순진리회의 도통은 ‘연원도통’이기에 도인은 연원이신 상제님·도주님·도전님께 성경신을 다해왔다. 또한 도전님께서 꼭 윗사람에게 잘 ..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북, 그 두드림의 의미 북, 그 두드림의 의미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장태호 모두가 정성 들이는 마음에 숨소리마저 조심스러운 치성시간 그때면 어김없이 들려오는 엄숙한 울림 둥둥, 둥둥, 둥! 그 두드림의 진동은 몸속까지 메아리치듯 울려 퍼진다. 치성과 강식이면 빠질 수 없는 북의 두드림은 듣는 이의 마음을 숙연케 한다. 이렇게 도장의 큰 행사에 반드시 사용되는 북, 과연 그 두드림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는 것일까? ▲ 쇠북 먼저 북의 어원에 관해서 15세기 국어 문헌인 『두시언해』(권8 36)와 『법화경 언해』(권5 38)를 참고해 볼 수 있다. 『두시언해』에는 ‘붚[鼓:북 고]’으로 『법화경 언해』에는 ‘붚[鐘:쇠북 종]’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만드는 재료에 따라 가죽북은 ‘갓붚(鼓)’, 쇠북은 ‘쇠붚..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원종- 이무기의 승천(昇天) 이무기의 승천(昇天)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최근 이무기가 용(龍)이 되는 전설을 소재로 한 영화가 상영되어 크게 흥행한 바 있다. 선(善)과 악(惡)을 대변하는 두 마리의 이무기가 용이 되기 위해 하나의 여의주(如意珠)를 둘러싸고 사투를 벌여 끝내 선한 이무기가 그것을 획득하여 승천(昇天)한다는 것이 전반적인 내용이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이무기라는 한국적인 소재를 갖고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개 동서양을 막론하고 용은 어떤 동물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동물이지만, 이처럼 용의 전신(前身)01인 이무기 설화를 갖고 있는 곳은 한국뿐이라고 한다. 이렇게 한국에서만 나온다는 이무기는 과연 어떤 동물일까? 예부터 내려오는 여러 민담(民譚)에 이무기02는 용이 되기 전..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종교와 문화 그리고 소통 종교와 문화 그리고 소통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김호용 간혹, 자신의 종교를 맹신한 나머지 남의 종교를 무시하거나 탄압하고 심지어 국가 간의 분쟁으로까지 번지는 커다란 불행들이 목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종교 간의 소통 부재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소통이 안 되는 이유는 서로가 신앙의 대상이 다르고 교리가 상반되기 때문일 것이다. 종교는 오늘날까지 사람보다는 신(神)을, 하늘을, 땅의 모든 정령(精靈)들을 우선시하고 숭배하여 왔다. 종교가 성립되는 요소 중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자(信者)인 사람일진대 사람은 사라진 채 이질적인 종교적 갈등 요소에 얽매이다 종교로 인한 분쟁이 연속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종교를 하나의 문화 내지는 세계관으로 이해한다..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전경성구- 생각에서 생각이 나오나니라 생각에서 생각이 나오나니라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김태윤 생각에서 생각이 나오나니라. (교법 2장 53절) 상제님의 천지공사를 받드는 데에 뜻을 둔 도인이라면 현실에서 해원상생을 실천하기 위해 정성을 다하고자 한다. 정성을 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획을 모색하기도 하고 수도 과정에서 발생한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고민하기도 한다. 상제님께서는 “생각에서 생각이 나오나니라”라고 말씀하신 바 있는데, 이 말씀은 수도인들이 정성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주신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흔히 인간을 생각하는 동물이라고 말한다. 생각이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작용01 이라는 점에서 인간은 생각을 통해 환경을 이해하고 극복해왔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생각이 지닌 능력을 어떻..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청계탑- 열풍뇌우불미 열풍뇌우불미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동양의 대표적인 고전인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에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천자의 자리를 선양하는 것에 대해 나오고 있다. 요임금은 어질기가 하늘과 같고 지혜가 신과 같아 그 큰 덕을 밝히어 백성을 다스리니 온 나라가 평화롭고 안락한 생활을 누리게 되니 바야흐로 태평성대인 것이다. 그러나 어느덧 요임금은 나이가 들어 몸도 노쇠해졌고 더구나 유례없는 대홍수가 일어나 온 세상을 황폐화시키고 있었다. 요임금은 자신의 뒤를 이어 능히 홍수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후계자를 찾고자 하였다. 그래서 어느 날 여러 신하를 불러 모으고 각기 천하를 다스릴만한 덕 있는 선비를 추천하기를 명하였다. 방제라는 신하가 요임금의 큰 아들인 주(朱)를 추천하였으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