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순광장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경敬의 실천에 따른 내內·외外적 효과 경敬의 실천에 따른 내內·외外적 효과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백기호 경(敬)은 심신(心身)의 움직임을 받아 일신상(一身上) 예의(禮儀)에 알맞게 행(行)하여 나아가는 것을 경(敬)이라 한다.(『대순진리회요람』‘경(敬)’, p.16) 한 저명한 학자가 자신의 미국 유학생활을 잘 마칠 수 있었던 성공비결을 한국에서처럼 미국의 교수들에게 항상 예를 갖춰서 공손하게 대했던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으레 밤낮없이 학문을 탐구한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 말할 법도 한 데 의외의 답으로 느껴질 수 있다. 이는 결국 동서양을 떠나 사람은 누구나 상대방의 말뿐 아니라 행동거지를 통해서 그 사람의 됨됨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반응한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예는 사람으로서 일생동안 기거동정(起居動靜)을 가리지 않고..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대인대의(大人大義)의 실천 대인대의(大人大義)의 실천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인간은 양이고 신은 음이다. 음양이 상합한 연후에 변화의 도리가 있다. 측량키 어려운 변화의 도술이 모두 신명에게 있으니 신명을 느끼어 통한 연후에 그 일을 도모하는 것을 일러 대인대의라 한다(人爲陽 神爲陰 陰陽相合然後 有變化之道也 不測變化之術 都在於神明 感通神明然後 事其事則謂之大仁大義也). (제생 43절) 상제님께서 말씀하신 대인대의(大仁大義)는 신명을 감동시켜 소통할 수 있는 덕목이다. 대인대의는 신명을 감동시켜 일에 성공할 수 있는 덕목이므로 우리 도의 종지 중 음양합덕과 신인조화를 실현하는 데서 중요한 실천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상제님께서는 이제는 해원시대라고 말씀하시면서 천지공사를 통해 인간·신명·금수까지도 해원 도수를 짜놓으셨다. 선천..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병(病)의 치유 병(病)의 치유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병(病)의 발생원인 병(病)의 사전적 의미는 “생물체의 전신이나 일부분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괴로움을 느끼게 되는 현상”입니다. 영어권에서는 ‘disease’라고 하는데 그것은 ‘편하지(ease) 않다(dis-)’는 뜻입니다. 왜 이렇게 불편한 상태가 발생한 것일까요? 여기에는 우주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전경』의 공사 1장 3절에는 이 세상이 참혹하게 된 이유에 대하여 한 문장으로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선천에는 인간과 사물이 모두 상극에 지배되어 세상이 원한이 쌓이고 맺혀 삼계를 채웠으니 천지가 상도(常道)를 잃어 갖가지 재화가 일어나고 세상은 참혹하게 되었도다.” 세상이 참혹하게 된 것은 갖가지 재화(災禍)가 끊임없이 번갈아 일..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잘못의 발견은 위대한 지식! 잘못의 발견은 위대한 지식!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하루는 절 마당을 걸어가다가 풀밭에 내던져진 채로 있는 망치 하나를 발견했다. 이미 녹이 슬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 그곳에 꽤 오래 버려져 있었던 게 틀림없었다. 절에서 사용하는 물건들은 승복에서 연장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힘들게 일하는 신도들이 시주한 것이다. 우리에게 그 망치를 사주기 위해 한 사람의 가난하지만 자비로운 불교도가 몇 주일이나 돈을 저축했는지도 모른다. 그 소중한 선물을 이런 식으로 분별없이 다루는 것은 결코 옳은 일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전체 수행승 회의를 소집했다. 나는 늘 성격이 삶은 콩처럼 무르다는 평을 듣지만, 그날 저녁만큼은 칠리 고추처럼 매서웠다. 나는 절의 수행승들을 호되게 꾸짖었다. 그들은 이 일을 통해 교훈을 배..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기도와 대순진리 기도와 대순진리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수도는 심신을 침잠추밀하여 대월 상제의 영시의 정신을 단전에 연마하여 영통의 통일을 목적으로 공경하고 정성하는 일념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지성으로 소정의 주문을 봉송한다. 수도는 공부와 수련과 평일기도와 주일기도로 구분한다. (『대순진리회요람』, p.18.)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은 포덕(布德)·교화(敎化)·수도(修道) 사업이다. 이러한 기본 사업 중 수도는 기본 중의 기본 사업일 것이다. 우리의 수도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한다. 이 네 가지가 형태는 다르지만 소정의 주문을 봉송하는 것은 공통부분이다. 다시 말해 수도는 기도(祈禱)를 모시는 일체의 마음과 행위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룬다. “상제의 영시의 정신을 단전에 연마하여”라는 구절에서 보듯, 기도는 상제님을..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마음을 굳건히 유지하는 방법 마음을 굳건히 유지하는 방법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백기호 누군가 마음에 정한 바를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지켜나가는 것을 보게 되면, 흔히 신념(信念: 굳건한 믿음) 있는 사람이라 한다. 신념은 거센 풍랑이 몰아치는 망망대해를 거침없이 뚫고 지나가는 배처럼 사람으로 하여금 모진 역경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추진력으로 작용하여 결국엔 목적한 바에 도달하게 해준다. 그래서 일의 성패 여부는 그 사람의 신념, 즉 믿음의 유무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대순진리회에서 신(信, 믿음)은 삼요체(三要諦)인 성·경·신 중 하나로 수도에 있어 중요한 실천항목이다. 위의 『대순진리회요람』 ‘신(信)’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 세 부분으로 나눠보았다. 첫 번째 부분인 ‘한 마음을 정한 바에는 ..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인존(人尊)과 해원상생(解寃相生) 인존(人尊)과 해원상생(解寃相生) 글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우리는 스스로 소우주라 사유하며 어느 생물보다 더 위대하고 신비한 존재로 생각해왔다. 인간을 소우주로 이해하는 생각은 경이로운 우주의 웅대함과 더불어 인간에 대한 존엄성이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그 존엄성이 일부 특권층에 치우친 경향으로 인간사회는 불평등한 구조를 개선하지 못하여 왔다. 이러한 흐름에서 인존사상은 사람을 새롭게 이해하고 공평한 사회를 형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또 우리가 인존을 이해하는데 주요한 안목은 사회구성원의 개개인보다 사회 곳곳에서 생활하는 다양한 모습을 보는 전체적인 시각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해원상생의 진리와 덕목은 인존사상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많은 생물이 .. 더보기 ♡대순진리회 회보♡ -대순광장- 대기(待期)의 미학(美學) 대기(待期)의 미학(美學)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교무부 송하명 TV 프로그램인 ‘K팝 스타 4’에서 ‘이진아’는 눈이 펑펑 내리는 차가운 버스정류장 길 위에 힘없이 엎드려 죽은 주인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강아지를 보면서 영감을 얻어 ‘마음대로’라는 곡을 완성했다. 그 가사 내용은 기다림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므로 남이 뭐라 해도 변함없이 기다릴 것이며, 내 자신이 원하는 것이니까 그 시간을 주인 생각만하고 기다리는 것이 행복하다는 이야기다. 기약 없는 기다림을 아름답게 미화(美化)시켰지만, 이 기다림은 왠지 외롭고 슬프며 마음이 아려온다. 하지만 우리 도에는 이와 같은 한 개인의 ‘기약 없는 날의 기다림’이 아닌 모두가 바라고 고대하는 아주 경건하고 아름다운 ‘기약 있는 날의 기다림’이 있다. 그것이 바로.. 더보기 이전 1 2 3 4 ··· 10 다음